프리미엄 백내장난시교정다초점, 연속초점다양한 안과검사안과 질환각막, 전안부수술결과 최적화

펜타캠 해석 – corneal power map 3

📂 함께 보면 좋은 글

펜타캠 해석 – Corneal Power Map

펜타캠해석 – corneal power Map 2

펜타캠 해석 – corneal power map 3

안녕하세요 안과전문의 송한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corneal power map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고.

각각 어떤 특징이 있는지도 공부를 했습니다.

오늘은 corneal power map에서

무엇을 보고

뭐가 정상이고

뭐가 비정상인지 알아보겠습니다.


Axial 기준

우리가 corneal power map을 보는 주된 이유는

각막 전면에서 굴절력이 어떻게 분포되어있는지 파악하기 위함입니다.

앞서 corneal power map에는 여러 지도가 있다 말씀을 드렸습니다.

여러 corneal power map

sagittal map = axial map은 여러가지 한계점이 있지만,

가장 기준이 됩니다.

패턴을 빨리 파악하고 판단하는데 좋기 때문 이 지도를 항상 먼저 봅니다.


Axis

Axial(sagittal) map은 각막 곡률을 측정할 때

기준이 되는 축이 있습니다.

axial map 원리

axial map인 위 그림을 보면

a와 b 지점의 각막 곡률은, 각 지점의 법선(접선에 수직인)이 중심축과 만나는 c를 중심으로 구하게 됩니다.

(axial map 방식)


여기서 잠깐,

접선(고등수학에서 배웠던)에 대해

어떻게 쉽게 설명할 수 있을까 고민하다

좋은 그림을 하나 발견했습니다.

롤러코스터를 타고 가다가,

갑자기 롤러코스터가 사라졌다고 가정을 해 봅시다…

이 순간 우리는 어디로 날아갈까요?

열차가 이동하는 방향 그대로 날아가겠죠?

이걸 롤러코스터 궤도의 “접선 방향”이라고 합니다.

역시 EBS…

접선

이제 이해가 되시나요?

axial map에 대한 더 자세한 원리는 -> 클릭


다시 돌아와서…

어쨌든 axial map은 기준이 되는 “축”이 있어야 합니다.

축은 정하기 나름인데,

시축(visual axis)

광학축(optical axis)

Videokeratoscope normal

이렇게 세 가지 축이 주요 축입니다.

이게 또 세세하게 들어가면 어려운 내용이지만,

우리 눈의 해부학적 중심과, 실제 볼 때 사용되는 시축은 차이가 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여러가지 축이 존재합니다.(해부학도 뭘 기준으로 하느냐 등등)

각막지형도 검사에서는,

어쩔 수 없이 이 세 축이 모두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VK를 기준 축으로 axial map 계산을 합니다.

(실제로는 세 축이 조금씩 다름)

이런 문제로

촬영 과정에서의 정렬이 매우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축을 기준으로 하는 axial map이 실제 임상에서 중요합니다.


기본 정보

axial map

먼저 axial map을 딱 보고 기본적인 정보를 파악합니다.

방향이 맞는지 확인하고,

가파른축(붉은)과 편평한축(파란)을 확인합니다.

나비넥타이 bowtie

가파른부분을 보면, 붉게 마치 나비텍타이모양처럼 생겨 보입니다.

그래서 저런 형태를 bowtie pattern 라고 하며 앞으로 자주 접하게 될 단어입니다.

대칭이면 symmetric bowtie, asymmetric bowtie 등등…


패턴

해석에 앞서

패턴 해석에 앞서 기본적인 부분을 보자면,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가파른 부분과 편평한 부분의 구역이 잘 표시되어야 합니다.

불규칙 정도 평가

가파른 구역과 편평한 구역의 분포를 보고,

각막이 얼마나 규칙적인지 불규칙적인지 알 수 있습니다.

위 그림 좌측 을 보면

구역이 잘 나뉘어져 있고, 색 분포가 다양하지 않은 반면

우측은 구역이 비대칭적이고 색 분포 또한 다양합니다.

좌측은 규칙적인 각막

우측은 불규칙적인 각막을 의미합니다.

이런 것은 백내장 수술시 난시교정이나, 다초점 인공수정체 삽입결정시 매우 중요한 시작이 되겠습니다.


만약 이런 불규칙 분포가 심하거나,

양 눈의 차이가 있다면?

측정 오류나 측정시 움직임이 있을 수 있어 다시 촬영합니다.

또한 안구건조증의 원인도 가능


이러한 구역의 분포를 통해 우리는 Axial map을 패턴화 하여 정리할 수 있습니다.


분류법

axial map을 패턴에 따라 분류를 할 수 있습니다.

그 방식 또한 만든 사람들에 따라 여러가지가 있는데,

Bogan SJ pattern
Rabinowitz pattern
Sinjab MM pattern

더 많을 수도 있습니다.

분류 방법이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그냥 정리하기 위함이지 정답은 없습니다.

저는 공부에 주로 참고한 Sinjab 패턴으로 설명을 하고자 합니다.

다음 포스팅에 이어서 펜타캠 해석 알아보겠습니다.

group A 부터 패턴을 알아보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은 커뮤니티를 이용 바랍니다.

Reference

  1. Sinjab MM. Corneal Tomography in Clinical Practice (Pentacam System).
  2. Sinjab MM. Five Steps to Start Your Refractive Surgery.
  3. Lee DH, Jung IK. Corneal Topography with Wavefront & AS-OCT.
  4. Randleman JB. Atlas of Corneal Imaging.
현재 시리즈 이어보기 << 펜타캠해석 – corneal power Map 2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