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미엄 백내장난시교정다양한 안과검사안과 질환수술결과 최적화각막, 전안부백내장

각막지형도 – 기본 설정과 변수 확인 2

📂 함께 보면 좋은 글

난시란? – 완벽 이해의 시작

난시 이해를 위한 광학, 그리고 교정 원리 – 1

난시 이해를 위한 광학, 그리고 교정 원리 – 2

각막난시 교정 – 벡터 플래닝

각막지형도 기본-1: 기본 원리와 Sim-K 이해하기

각막지형도 기본-2: 다양한 지도 해석하기

각막지형도 기본-3 : 후면 파악이 가능

백내장 수술 전 난시 평가: 사전검사와 수술 전략

노안 백내장 수술 시작하기

각막지형도, 혼동하기 쉬운 것들

각막지형도, 해석에 앞서 봐야 할 것

각막 지형도 – 기본 설정과 변수 확인 1

각막지형도 – 기본 설정과 변수 확인 2

펜타캠 해석 – 지도의 종류

안녕하세요 안과전문의 송한입니다.

각막 parameter box

지난 시간에 이어,

각막지형도 각막 parameter에 대해 마저 알아보겠습니다.


Landmarks

이 창은,

각막 중심, 동공 중심 등 각막의 해부학적인 기준점들 사이의 관계를 자세히 알 수 있는 부분입니다.

먼저 기준이 되는 지점이 있어야 합니다.

팬타캠에서는 pachy apex를 기준점으로 합니다.


Pachy Apex

pachy apex는 각막 정점 두께

즉, 각막의 가장 정점에서 측정되는 각막 두께를 말합니다.

팬타캠은 장비 특성상(샤임플러그) 검사를 할 때, 환자가 타겟 주시시 바라보는 지점을 corneal apex로 간주합니다.

(엄밀히 따지자면 진정한 의미의 첫 purkinje 반사점은 아님)

어쨌든 이 지점을 기준점으로 하기 때문에,

좌표 원점 (0.00, 0.00)으로 표기가 됩니다.

그림과 같이,

x축은 환자 기준 오른쪽->왼쪽 방향

y축은 아래->위 방향입니다.

이후에 알아볼 모든 지표(동공 중심, k max 등등)은 결국 이 apex로 부터 떨어진 거리를 측정하게 됩니다.

이 지점에서 측정된 pachy(각막두께) 값을

흔히 CCT, 중심 각막 두께로 봅니다.

정상 평균은 534–575 μm 정도.


Pupil Center

이 부분은 검사 시점의 동공 중심 위치를 나타냅니다.

산동(동공을 키움)시는 이 중심이 이동될 수 있어, 산동하기 전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측정을 해야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보통 산동시 상이측으로 중심이 이동되는 경향이 있음)

우측 x, y값은,

동공 중심이 앞서 알아본 pachy apex로부터 얼마나 벗어나 있는지 좌표 나타낸 부분입니다.

만약 동공 중심이 pachy apex와 정확히 일치한다면 (0.00, 0.00)값.

우측 눈

하지만 그런 경우는 없고 어느정도 거리가 있습니다.

만약 위와 같은 그림처럼 동공중심(십자가)가 각막 정점(검은점)으로부터

좌측으로 0.3mm, 하측으로 0.2mm 떨어져 있다면,

(-0.3, -0.2)으로 표기될 수 있겠습니다.

이 지표가 중요한 이유는,

첫 번째로 앞선 포스팅에서 알아보았지만 검사의 신뢰도 확인에 사용합니다.

검사시 눈, 머리 정렬이 틀어져 있다면 좌 우 대칭성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두 번째로 angle kappa값을 대략적으로 평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보통은 절대값이 0.2mm 이내를 보이며 더 큰 경우 angle kappa가 좀 된다고 유추할 수 있습니다.

(나중에 알아볼 holladay report에서 바로 코드뮤를 볼 수 있습니다)


Thinnest Location(TL)

이 지점은, 측정된 부위 중 가장 얇은 지점을 의미합니다.

대부분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정상 평균은 536 μm를 보입니다.

469 μm보다 얇은 경우 → 정상의 약 2.5%

435 μm보다 얇은 경우 → 정상의 약 0.15%

위치 또한 중요한데,

평균적으로 apex로부터

이측(귀쪽)으로 0.44mm, 하측으로 0.29mm에 위치해 있습니다.

양안의 대칭을 보자면,

정상 범위는 대략 <30 μm의 두께 차이를 보입니다.

차이가 25 μm 보다 크다면 → 정상의 5% 미만

34 μm 보다 크다면 → 정상의 0.5% 미만…

이 지점이 중요한 이유는,

각막확장질환(corneal ectatic disorder) 진행 여부를 보는데 중요합니다.


K max

전면 각막(anterior corneal)에서,

가장 가파른 곡률 반경을 보이는 지점을 뜻합니다.

표시는 역시 디옵터(D)로 합니다.

이 지표의 중요성은,

검사 신뢰도 판단에 쓰일 수도 있고.

앞서 알아본 Thinnest location(TL) 값과 함께 각막확장질환 진행 여부를 보는데 매우 중요한 지표랍니다.


정리

간단하게 정리를 해 보자면

Pachy apex = 좌표 원점 + 중심각막두께

Pupil center = 검사 신뢰도, angle kappa 평가에 참고

TL = 평균 536 μm / 위치는 약간 temporal & inferior / 양안 차이는 30 μm 이내가 정상, 각막 확장 진행 추적

Kmax = 각막 확장 진행 추적의 핵심지표 (Sim K보다 민감)


기타 수치…

land mark 아래에 좀 더 여러가지 수치들이 있습니다.

사실 팬타캠에서는 별로 중요하지 않은 부분이라 볼 필요는 없습니다만,

pupil diameter 부분은 검사시 평균 동공 크기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검사 환경의 조도가 중요한데,

임상적으로 mesopic한 환경의 동공 크기가 중요합니다.

굴절수술, 백내장수술시 모두.

따라서 검사 환경도 mesopic 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mesopic한 환경이란

위 그림 중앙과 같은 환경이라 보면 됩니다.

실제 가장 밤과 낮의 중간이랄까..

오늘은 이렇게,

각막지형도 corneal parameter에 대해 전부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본격적으로 map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은 커뮤니티를 이용 바랍니다.

현재 시리즈 이어보기 << 각막 지형도 – 기본 설정과 변수 확인 1 펜타캠 해석 – 지도의 종류 >>

각막지형도 – 기본 설정과 변수 확인 2” 에 달린 1개 의견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